본문 바로가기

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제테크 아이디어

부자 스탭 2편

2장. 종잣돈이 필요한 이유

내가 20대였던 시절에 제일 가지고 싶었던 것은 집이였다.그때는 집으로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은 몰랐고 단순히 내 집이 가지고 싶었다. 그렇지만 난 집을 가지지 못했다. 그 이유는

  1. 돈이 없었다.
  2. 집을 사기 위해서는 많은 돈이 필요하다고 알고있었다.

부자 스탭에서 집이란 자산이다. 자산 시장의 참여자가 되기 위해서라도 집을 사야한다.

그리고 집을 사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5억원 짜리의 집을 구매하기 위하여 얼마의 돈이 필요할까?

레버리지를 모르는 사람은 5억원의 집을 사기 위하여 5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하지만 실제 5억원의 집을 매수하기 위해 5억원 전부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주택 및 대출에 관한 규제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10~20%만 있어도 집을 매수할 수 있다.(자세한 방법은 추후에 다룰 예정이다.)하지만 종잣돈이 있다면 주택뿐만 아닌 다른 부동산 상품을 매수할 수도 있고,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를 할 수도 있다.어쨌든 본격적으로 자산시장의 참여자가 되는 것이 핵심 포인트이다.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종잣돈이 필요할까?

소액으로도 충분히 투자가 가능한 상품들이 많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1억원을 이야기한다.

 

일단 오늘부터라도 차곡차곡 모아보길!


# 종잣돈 모으는 TIP

적은 목표부터 단계별로 모으기

: 1천만원 먼저 모은 후 3천만원, 5천만원 등 점점 늘려나가는 것이 좋다.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은 돈이지만 한달에 83만원을 매달 모은다면 1년만에 1천만원을 모을 수 있다.

 

정기 적금에 가입하기

: 정기 적금의 장점은 안전하다는 것이다. 요즘은 이율도 많이 오르고 있기때문에 더욱 매력이 생겼다.

적절한 투자상품을 찾으면 바로 투자할 수 있도록 짧은 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서 다양한 예적금 상품 확인이 가능하며, 요즘은 네이버에서도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neosave.php

 

√ 적립식으로 주식 투자하기

주식은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지만 부자 스탭을 밟는 순간부터 위험은 항상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지금같이 금리인상 시기에는 주식 시장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신중히 접근하는 것이 좋다.

은행에서 판매하는 적립식 펀드를 가입해도 좋고, 직접 ETF에 투자하는 것도 좋다. 

 

 

시드머니를 모으는 기간 동안 투자상품에 대하여 공부를 하고,

1천만원 모으기라는 목표를 달성했음에도 좋은 투자상품을 찾지 못하였다면 다시 반복한다.